1. 회원가입 후, 메인 페이지에서 관리 콘솔에 들어간다.

2. 모든 서비스에서 EC2를 선택한다.
: EC2 외에도 lamda와 같은 유연한 서비스도 존재하지만, 우분투 같은 일반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 EC2를 선택했다.
** 이벤트가 많은 경우 lamda를 사용하면 좋고 (nodejs로 함수 구현할 수 있음)
NAS 용도로 스토리지만 필요할 경우 S3를 사용하는 등, 본인이 사용하려는 목적에 따라 결정하자.

3. 인스턴스 시작 클릭

4. 우분투 서버 20.04 LTS 선택
: 제일 위에 본인들의 아마존 리눅스를 제공하고 있지만, 평소에 사용해왔던 우분투를 서버를 선택한다.

5. 본인이 필요로 하는 CPU 성능 선택
: 기본은 t2 micro로 되어있으며, 후에 용량이 더 필요하다면 하드디스크를 탑재할 수 있다.
필자는 일반적인 서비스 유포를 할 예정이므로, t2 xlarge 유형(CPU 개수 4개, 용량 16GB)을 선택했다.
** 참고로 인스턴스를 항상 켜 두면서, 일반적인 서비스를 배포를 하는 중이라면 대략 한 달에 xx원의 비용이 발생한다.

6. 인스턴스 세부 정보 구성
: 사실 기본으로 하고 넘어가도 되지만, 서브넷(리전)이 한국으로 되어 있는지랑 퍼블릭 IP가 자동 할당되는지 정도만 체크하면 좋다.
ap-northeast-2X 으로 되어 있으면 한국이다.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자.
(** 리전 보기 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AWSEC2/latest/UserGuide/using-regions-availability-zones.html )

7. 태그 추가 스킵!

8. 보안 그룹 구성
: 보안 그룹 구성도 추후에 변경 가능하며, 본인이 필요로 하는 포트를 열어두자.
사용자 지정 소스는 IP나 CIDR를 본인이 설정한 대역에서만 들어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, 0.0.0.0을 설정하여 모든 IP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했다.

9. 인스턴스 설정 확인

10. 키 생성
: 새로운 키를 생성하고, 키를 다운로드한다.

11. 인스턴스 시작
: 실행중으로 변경된 인스턴스를 선택하여 "연결"을 누르자.


12. 환경설정
: 생성한 인스턴스의 콘솔 창에서 필요한 환경설정을 해주자.

필자가 인스턴스 생성 후, 기본적으로 필요한 명령어들이다.
sudo apt update
sudo apt upgrade -y
sudo apt install net-tools -y
sudo apt install vim
// 한국시간 설정
sudo date
sudo rm /etc/localtime
sudo ln -s /usr/share/zoneinfo/Asia/Seoul /etc/localtime
sudo date
'학교 공부 > 시스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도커 #2] 도커 이미지(docker image)란? (1) | 2021.07.28 |
---|---|
[시스템] 메모리 주소 지정 방식 종류 (0) | 2021.03.17 |
[시스템] x86 시스템, 메모리 접근 모드와 동작 (0) | 2021.03.17 |
[시스템] x86 시스템, 레지스터 종류 정리(핵심/간단) (0) | 2021.03.17 |
[도커 #1] 도커란? (0) | 2020.08.31 |
댓글